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마지막 판 양쪽 다음 판
중소기업의_iot_활용_1_2 [2018/06/12 14:22]
wikiadmin 만듦
중소기업의_iot_활용_1_2 [2018/06/12 14:27]
wikiadmin
줄 11: 줄 11:
  
 또한, IoT GO는 중소제조업이 IoT활용을 도입할 때 최대의 장애가 되는 비용 면에서도 깜짝놀랄 만한 가격을 설정하였다. “초기비용 0” 라 주장하는데,​ 그럼에도 수주를 시작한 IoT GO는 어떻게 개발되었을까 궁금하기 짝이 없다. 또한, IoT GO는 중소제조업이 IoT활용을 도입할 때 최대의 장애가 되는 비용 면에서도 깜짝놀랄 만한 가격을 설정하였다. “초기비용 0” 라 주장하는데,​ 그럼에도 수주를 시작한 IoT GO는 어떻게 개발되었을까 궁금하기 짝이 없다.
- +\\  
-{{ :​대쉬보드.jpg?​300 |}}  +\\ 
-                                               ​「IoT GO」로 수집한 데이터 정보를 토대로 대쉬보드를 터블렛 단말기에 표시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현장력 X 클라우드 개발력>​으로 개발**\\ ​ **중소기업의 <​현장력 X 클라우드 개발력>​으로 개발**\\ ​
  
 +{{:​대쉬보드.jpg?​300 |}}
 +[사진설명:​「IoT GO」로 수집한 데이터 정보를 토대로 대쉬보드를 터블렛 단말기에 표시하고 있다.]
 쿠노금속공업은,​ 2018년으로 창업71주년이 된 자동차 프레스 가공부품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는 중소기업이다. 직원 수는 300명 정도로 소규모이지만 최신설비 도입과 기술혁신에 힘써 왔다. 탁월한 금형기술과 자사개발설비에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최근에는 EV(전기자동차)와 PHV(프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를 비롯해 차세대자동차부품에도 진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많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 세계 최초로 EV용 대형리튬이온 전지케이스 양산화에 성공하였으며,​ PHV용 대형 모터 하우징 연구개발과 양산화로 글로벌 쉐어를 확대해 가고있다. 쿠노금속공업은,​ 2018년으로 창업71주년이 된 자동차 프레스 가공부품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는 중소기업이다. 직원 수는 300명 정도로 소규모이지만 최신설비 도입과 기술혁신에 힘써 왔다. 탁월한 금형기술과 자사개발설비에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최근에는 EV(전기자동차)와 PHV(프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를 비롯해 차세대자동차부품에도 진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많은 실적을 올리고 있다. 세계 최초로 EV용 대형리튬이온 전지케이스 양산화에 성공하였으며,​ PHV용 대형 모터 하우징 연구개발과 양산화로 글로벌 쉐어를 확대해 가고있다.
  
줄 30: 줄 31:
  
 **대상장치에 「ON, OFF 설계만으로」 간단한 IoT**\\ ​ **대상장치에 「ON, OFF 설계만으로」 간단한 IoT**\\ ​
 +
 +{{:​iot_go.jpg?​300 |}} [사진설명:​「IoT GO」는 설비나 장치의 외부에 부착하여 ON, OFF만을 계측하는 심플한 구조이다.]
 +
  
 양사는 IoT 공동개발시 중소제조업이 IoT를 시작할 때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리스크를 크게 2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양사는 IoT 공동개발시 중소제조업이 IoT를 시작할 때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리스크를 크게 2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줄 37: 줄 41:
 두번째가 「기술에 대한 리스크 경감」이다. IoT GO는 정보를 얻고 싶은 장치의 ON, OFF만을 계측하는 센서를 채용하였다.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의 펀칭 회수나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일정한 시간 카운팅하고,​ 1일 가동시간을 계측한다. 이렇게 간단한 구조라면 IT시스템과의 접속 인터페이스 장비가 없는 구식 설비일지라도 간단히 IoT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의 점멸을 광센서로 계측하거나,​ 작업자가 누르는 스위치를 마그넷 센서로 계측하는 등 설비나 장치의 내부에는 손을 대지 않고 외면에 나타나는 변화를 센싱하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 두번째가 「기술에 대한 리스크 경감」이다. IoT GO는 정보를 얻고 싶은 장치의 ON, OFF만을 계측하는 센서를 채용하였다.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의 펀칭 회수나 대상 장치의 동작을 일정한 시간 카운팅하고,​ 1일 가동시간을 계측한다. 이렇게 간단한 구조라면 IT시스템과의 접속 인터페이스 장비가 없는 구식 설비일지라도 간단히 IoT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의 점멸을 광센서로 계측하거나,​ 작업자가 누르는 스위치를 마그넷 센서로 계측하는 등 설비나 장치의 내부에는 손을 대지 않고 외면에 나타나는 변화를 센싱하여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
  
-{{ :​iot_go.jpg?​300 |}} +
-  +
-                                            「IoT GO」는 설비나 장치의 외부에 부착하여 ON, OFF만을 계측하는 심플한 구조이다.+
       ​       ​
       ​       ​
줄 46: 줄 48:
       ​       ​
       ​       ​
-출처: MONOist+출처: MONOist\\ 
 번역: K-SmartFactory 번역: K-SmartFactory
  
중소기업의_iot_활용_1_2.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12 14:39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