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사례연구:샌디에이고_슈퍼컴퓨터_센터_2부 [2016/07/20 11:48]
wikiadmin
사례연구:샌디에이고_슈퍼컴퓨터_센터_2부 [2016/07/20 11:50] (현재)
wikiadmin
줄 1: 줄 1:
 ==== 사례연구 : 샌디에이고 슈퍼컴퓨터 센터 2부 ==== ==== 사례연구 : 샌디에이고 슈퍼컴퓨터 센터 2부 ====
 +\\  
 +\\ 
  
 **해결방법** **해결방법**
줄 36: 줄 37:
 \\  \\ 
 {{ :​사례연구:​슈컴1.jpg |}}\\  {{ :​사례연구:​슈컴1.jpg |}}\\ 
-\\  
 //SDSC에 설치된 PAC Display HMI 화면: 공조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노란색은 서행, 빨간색은 정지, 오렌지색은 가동시작을 의미한다.// ​ //SDSC에 설치된 PAC Display HMI 화면: 공조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노란색은 서행, 빨간색은 정지, 오렌지색은 가동시작을 의미한다.// ​
 \\  \\ 
줄 79: 줄 79:
 \\  \\ 
 SNAP PAC 시스템과 PAC 프로젝트 소프트웨어는 SDSC가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이 정확하게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SDSC는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의 최적화를 유지할 수 있고, 냉각수 사용량을 2,​000GPM에서 330GPM으로,​ 전력 사용량을 300KW에서 79kw로 줄일 수 있었다. SDSC는 이 새로운 시스템 덕분에 연간 168,000 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 SNAP PAC 시스템과 PAC 프로젝트 소프트웨어는 SDSC가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이 정확하게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SDSC는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의 최적화를 유지할 수 있고, 냉각수 사용량을 2,​000GPM에서 330GPM으로,​ 전력 사용량을 300KW에서 79kw로 줄일 수 있었다. SDSC는 이 새로운 시스템 덕분에 연간 168,000 달러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
 +\\ 
 \\  \\ 
 \\  \\ 
줄 104: 줄 105:
 캐스캐드¹ : 동위 원소 분리을 할 때에 분리 과정을 단 한 번만 하는 것을 단일 과정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단일 과정만으로는 충분히 분리할 수 없으므로 분리 과정을 몇 회씩, 때로는 몇천 회나 반복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분리 과정을 연속적으로 배열시킨 것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의 개개의 분리 단위를 요소라고 하고, 요소를 연결한 배열을 캐스케이드라 한다. 캐스캐드¹ : 동위 원소 분리을 할 때에 분리 과정을 단 한 번만 하는 것을 단일 과정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단일 과정만으로는 충분히 분리할 수 없으므로 분리 과정을 몇 회씩, 때로는 몇천 회나 반복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분리 과정을 연속적으로 배열시킨 것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의 개개의 분리 단위를 요소라고 하고, 요소를 연결한 배열을 캐스케이드라 한다.
  
 +\\  
 +\\  
 +글 : OPTO 22 Case Study _ San Diego Supercomputer Center\\  
 +번역 : 박대희 선임연구원\\  
 +편집 : 김수진 선임연구원
  
사례연구/샌디에이고_슈퍼컴퓨터_센터_2부.146898293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7/20 11:48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