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재고관리의_스마트화 [2018/02/13 15:08]
wikiadmin
재고관리의_스마트화 [2018/02/13 15:08] (현재)
wikiadmin
줄 7: 줄 7:
 {{ :​계측기.jpg?​500 |}} {{ :​계측기.jpg?​500 |}}
                                ​(동양합성공업 주식회사 이치가와 공장제품 탱크에 설치된 무선통신기능 부착 스마트액면계)                                ​(동양합성공업 주식회사 이치가와 공장제품 탱크에 설치된 무선통신기능 부착 스마트액면계)
- 
  
 동양합성공업은 1954년 설립되어 의약품용 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설립 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현재 주력상품은 감광재, 향료용 원료, 전자부품과 의학품용 용제로 발전해 왔다. 이 회사의 제품 생산방식은 복잡한 제조 프로세스를 통하여 고단가, 고부가치제품을 창출하는 배치방식으로,​ 1~2주 기간의 생산시간을 필요로 한다. 동양합성공업의 이치가와 공장에서 이렇게 완성된 제품은 55기의 제품탱크에 보관된다. 연속식 플랜트와 다르게 배치생산을 하는 화학플랜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재고량이 적어지면 제품을 추가 생산한다. 특히 고객에게 적시에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재고량 관리가 중요하다. 재고량이 부족할 경우 고객이 요구하는 기간 내에 제품을 공급하기 어려워 거래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평소 재고와 원료는 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시스템상의 데이터는 장부상의 수치이므로,​ 제조 손실이 발생할 경우 실제 재고량과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확한 재고량 관리를 위해 1일 2~3회 현장을 순회 점검하고 있다. 탱크에 설치된 액면계측기기를 눈으로 점검하여 탱크 내에 있는 제품량을 확인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양합성공업은 1954년 설립되어 의약품용 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설립 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현재 주력상품은 감광재, 향료용 원료, 전자부품과 의학품용 용제로 발전해 왔다. 이 회사의 제품 생산방식은 복잡한 제조 프로세스를 통하여 고단가, 고부가치제품을 창출하는 배치방식으로,​ 1~2주 기간의 생산시간을 필요로 한다. 동양합성공업의 이치가와 공장에서 이렇게 완성된 제품은 55기의 제품탱크에 보관된다. 연속식 플랜트와 다르게 배치생산을 하는 화학플랜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재고량이 적어지면 제품을 추가 생산한다. 특히 고객에게 적시에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재고량 관리가 중요하다. 재고량이 부족할 경우 고객이 요구하는 기간 내에 제품을 공급하기 어려워 거래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평소 재고와 원료는 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시스템상의 데이터는 장부상의 수치이므로,​ 제조 손실이 발생할 경우 실제 재고량과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확한 재고량 관리를 위해 1일 2~3회 현장을 순회 점검하고 있다. 탱크에 설치된 액면계측기기를 눈으로 점검하여 탱크 내에 있는 제품량을 확인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줄 14: 줄 13: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55기의 제품탱크 중 2기에 실험적으로 무선기능이 부착된 액면계측 기기를 설치하여 액면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람이 직접 점검하는 대신 실시간으로 탱크 안의 제품재고량을 파악하여,​ 결과적으로 재고 부족으로 인한 사업 기회손실을 막을 수 있게 되었고, 제품수요가 반영된 보다 정확한 생산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순회 점검작업에 걸리던 시간이 삭감되어,​ 그 잉여시간을 설비운전 및 메인터넌스 업무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과 신기술 도입에 충당하고 있다. 이에 더해 개선 전의 액면계측기는 제품 성분 중 하나인 산성의 영향을 받아 고장이 나거나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하곤 했다. 이 때 작업자가 탱크 위에 올라가 뚜껑을 열고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면서 메인터넌스 업무의 안전성도 향상되었다. 앞으로 완제품 탱크의 모든 액면계측기에 무선통신 기능을 확대 탑재할 예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55기의 제품탱크 중 2기에 실험적으로 무선기능이 부착된 액면계측 기기를 설치하여 액면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람이 직접 점검하는 대신 실시간으로 탱크 안의 제품재고량을 파악하여,​ 결과적으로 재고 부족으로 인한 사업 기회손실을 막을 수 있게 되었고, 제품수요가 반영된 보다 정확한 생산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순회 점검작업에 걸리던 시간이 삭감되어,​ 그 잉여시간을 설비운전 및 메인터넌스 업무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과 신기술 도입에 충당하고 있다. 이에 더해 개선 전의 액면계측기는 제품 성분 중 하나인 산성의 영향을 받아 고장이 나거나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하곤 했다. 이 때 작업자가 탱크 위에 올라가 뚜껑을 열고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면서 메인터넌스 업무의 안전성도 향상되었다. 앞으로 완제품 탱크의 모든 액면계측기에 무선통신 기능을 확대 탑재할 예정이다.
- 
  
 ====== 보다 정밀한 생산계획 수립에 확대 활용할 계획 ====== ====== 보다 정밀한 생산계획 수립에 확대 활용할 계획 ======
재고관리의_스마트화.151850209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2/13 15:08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