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확한_센서_측정을_위한_엔지니어_가이드_1부 [2016/07/27 11:36]
wikiadmin
정확한_센서_측정을_위한_엔지니어_가이드_1부 [2016/07/27 11:58] (현재)
wikiadmin
줄 4: 줄 4:
 \\  \\ 
 === 개요 === === 개요 ===
-\\  
-\\  
 센서는 물리적 현상을 측정가능한 전자 신호로 바꾼다. 그러나 일부 센서들은 변화하는 물리적 현상이나 필요한 신호 조절에 반응하지 못 한다. 센서 출력이 디지털화 되기 전에, 측정 하드웨어의 충분한 능력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신호를 생산하기 위해 신호는 추가적인 장치와 전기회로망을 필요로 할 수 도 있다. 이 자료는 센서와 설비의 연결, 실행을 위한 적절한 신호 조절, 그리고 시스템 에러의 잠재적 소스를 줄이는 실제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다. ​ 센서는 물리적 현상을 측정가능한 전자 신호로 바꾼다. 그러나 일부 센서들은 변화하는 물리적 현상이나 필요한 신호 조절에 반응하지 못 한다. 센서 출력이 디지털화 되기 전에, 측정 하드웨어의 충분한 능력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신호를 생산하기 위해 신호는 추가적인 장치와 전기회로망을 필요로 할 수 도 있다. 이 자료는 센서와 설비의 연결, 실행을 위한 적절한 신호 조절, 그리고 시스템 에러의 잠재적 소스를 줄이는 실제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다. ​
 \\  \\ 
줄 12: 줄 10:
 \\  \\ 
 === 서모커플(Thermocouples)¹,​ RTDs², 그리고 서미스터(Thermistors)³ === === 서모커플(Thermocouples)¹,​ RTDs², 그리고 서미스터(Thermistors)³ ===
-\\  
-\\  
 서모커플,​ RTDs, 서미스터는 다양한 온도 변화 속 특정 금속의 예측가능하고 측정가능한 반응적 특성을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이 세 가지의 경우 측정 반응이 일반적으로 매우 작다는 점과, 매우 낮은 온도 단계의 측정에서는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측정 시스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속 적절한 신호 조절은 온도측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나오는 내용은 서모커플,​ RTD, 그리고 서미스터의 정확성을 위한 권장 신호 조절 필요조건들을 보여준다.  ​ 서모커플,​ RTDs, 서미스터는 다양한 온도 변화 속 특정 금속의 예측가능하고 측정가능한 반응적 특성을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이 세 가지의 경우 측정 반응이 일반적으로 매우 작다는 점과, 매우 낮은 온도 단계의 측정에서는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측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측정 시스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속 적절한 신호 조절은 온도측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나오는 내용은 서모커플,​ RTD, 그리고 서미스터의 정확성을 위한 권장 신호 조절 필요조건들을 보여준다.  ​
 \\  \\ 
 \\  \\ 
 == 신호 조절 필요조건 == == 신호 조절 필요조건 ==
-**필터링**+**필터링**
 \\  \\ 
 \\  \\ 
줄 27: 줄 23:
 \\  \\ 
 \\  \\ 
-**분리**+**분리**
 \\  \\ 
 \\  \\ 
줄 39: 줄 35:
 \\  \\ 
 \\  \\ 
-**선형화⁵**+**선형화⁵**
 \\  \\ 
 \\  \\ 
줄 48: 줄 44:
 \\  \\ 
 \\  \\ 
-{{ :센서1.jpg |}}+{{:센서11.png|}}
 \\  \\ 
 \\  \\ 
줄 77: 줄 73:
 \\  \\ 
 == RTDs/​서미스터 세부 고려사항 == == RTDs/​서미스터 세부 고려사항 ==
-**여자 전류 Current Excitation¹⁰**+**여자 전류 Current Excitation¹⁰**
 \\  \\ 
 \\  \\ 
줄 83: 줄 79:
 \\  \\ 
 \\  \\ 
-**2-,3-, 그리고 4- 배선 배열을 사용한 하드웨어 연결 (RTDs만 해당)**+**2-,3-, 그리고 4- 배선 배열을 사용한 하드웨어 연결 (RTDs만 해당)**
 \\  \\ 
 \\  \\ 
줄 90: 줄 86:
 \\  \\ 
 == 서모커플 세부 고려 사항 == == 서모커플 세부 고려 사항 ==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  \\ 
 \\  \\ 
줄 102: 줄 98:
 \\  \\ 
 \\  \\ 
-**냉접점 보상(Cold-Junction Compensation,​ CJC)**+**냉접점 보상(Cold-Junction Compensation,​ CJC)**
 \\  \\ 
 \\  \\ 
줄 114: 줄 110:
 \\  \\ 
 \\  \\ 
-**잔류 편차 오류의 제거**+**잔류 편차 오류의 제거**
 \\  \\ 
 \\  \\ 
줄 123: 줄 119:
 \\  \\ 
 \\  \\ 
-**연결되지 않은 서모커플의 검출**+**연결되지 않은 서모커플의 검출**
 \\  \\ 
 \\  \\ 
줄 132: 줄 128:
 \\  \\ 
 \\  \\ 
-**결론**+**결론**
 \\  \\ 
 \\  \\ 
줄 149: 줄 145:
  
 -------------------------------------------------------------------------------------------------------------- --------------------------------------------------------------------------------------------------------------
-서모커플(Thermocouples)¹ : 두 종류의 금속을 조합하였을 때 접합 양단의 온도가 서로 다르면 이 두 금속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로 2접점 간의 온도차를 알 수 있다. 이 열전기(熱電氣)의 현상을 이용하여 고열로(高熱爐)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열전대라 한다. 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내구성이 좋아 극한상황에서 많이 이용된다. ​ 
 \\  \\ 
 \\  \\ 
-RTDs² :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의 약자. 전류에 대한 저항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서모커플(Thermocouples)¹** : 두 종류의 금속을 조합하였을 때 접합 양단의 온도가 서로 다르면 이 두 금속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로 2접점 간의 온도차를 알 수 있다. 이 열전기(熱電氣)의 현상을 이용하여 고열로(高熱爐)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열전대라 한다. 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내구성이 좋아 극한상황에서 많이 이용된다.  
 +\\  
 +\\  
 +**RTDs²** :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의 약자. 전류에 대한 저항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
 \\  \\ 
 \\  \\ 
-서미스터(Thermistors)³ : 전자부품으로 사용하기 쉬운 저항값(抵抗値)과 온도 특성을 가진 반도체 디바이스. 온도가 오르면 저항값이 떨어지는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올라가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그리고 어떤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변하는 CIR(critical temperature resistor)로 분류된다.+**서미스터(Thermistors)³** : 전자부품으로 사용하기 쉬운 저항값(抵抗値)과 온도 특성을 가진 반도체 디바이스. 온도가 오르면 저항값이 떨어지는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올라가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그리고 어떤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변하는 CIR(critical temperature resistor)로 분류된다.
 \\  \\ 
 \\  \\ 
-공통모드(common-mode)⁴:​ 노이즈의 한 종류, 접지에서 바라본 양라인의 노이즈 (라인에서 접지로 흐른다.)+**공통모드(common-mode)**⁴: 노이즈의 한 종류, 접지에서 바라본 양라인의 노이즈 (라인에서 접지로 흐른다.)
 \\  \\ 
 \\  \\ 
-선형화: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방정식이 변수와 상수의 곱의 항의 합으로 나타날 때 이것을 선형 방정식 또는 1차 방정식(linear equation)이라고 한다.+**선형화⁵** :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방정식이 변수와 상수의 곱의 항의 합으로 나타날 때 이것을 선형 방정식 또는 1차 방정식(linear equation)이라고 한다.
 \\  \\ 
 \\  \\ 
-스케일링6: 크기 조정, 표준 신호를 해당되는 공학적 단위로 변환시키는 것.+**스케일링⁶**: 크기 조정, 표준 신호를 해당되는 공학적 단위로 변환시키는 것.
 \\  \\ 
 \\  \\ 
-서모일렉트릭(Thermoelectric)7: Thermocouple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 말+**서모일렉트릭(Thermoelectric)⁷**: Thermocouple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 말
 \\  \\ 
 \\  \\ 
-비선형성(nonlinearity)8: 함수의 값이 독립변수의 값과 비례관계에 있지 않는 것.+**비선형성(nonlinearity)⁸**: 함수의 값이 독립변수의 값과 비례관계에 있지 않는 것.
 \\  \\ 
 \\  \\ 
-보간(interpolation)9: 수신된 신호에 있어서 송신기에서의 압축, 전송 도중에 감쇠, 수신 회로에서의 판별 작용 등에 의해 약해진, 혹은 수신 누락된 단위 길이의 신호 요소를 동기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수신법. 신호 보간이라고도 한다.+**보간(interpolation)⁹**: 수신된 신호에 있어서 송신기에서의 압축, 전송 도중에 감쇠, 수신 회로에서의 판별 작용 등에 의해 약해진, 혹은 수신 누락된 단위 길이의 신호 요소를 동기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수신법. 신호 보간이라고도 한다.
 \\  \\ 
 \\  \\ 
-여자전류(Current Excitation)10 : 변압기, 전압 조정기 등에서의 여자를 하기 위한 전류로, 적당히 선택한 권선의 정격 전류의 백분율 또는 퍼 유닛값으로 주어진다.+**여자전류(Current Excitation)¹⁰** ​: 변압기, 전압 조정기 등에서의 여자를 하기 위한 전류로, 적당히 선택한 권선의 정격 전류의 백분율 또는 퍼 유닛값으로 주어진다.
 \\  \\ 
 \\  \\ 
-분해능(Resolution)¹¹ : 분해능이란 최소로 읽을 수 있는 눈금 단위를 말한다. ​+**분해능(Resolution)¹**¹ ​: 분해능이란 최소로 읽을 수 있는 눈금 단위를 말한다. ​
 \\  \\ 
 \\  \\ 
-바이아스(bias)¹² : 전자관이나 트랜지스터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기 위하여 신호전극 등에 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이다. ​+**바이아스(bias)¹²** : 전자관이나 트랜지스터의 동작 기준점을 정하기 위하여 신호전극 등에 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이다. ​
 \\  \\ 
 \\  \\ 
정확한_센서_측정을_위한_엔지니어_가이드_1부.146958697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7/27 11:36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