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prise-IoT
*Smart Machine 사례연구
*Middleware 사례연구
*AI·Big Data 사례연구
*IoT 사례연구
*Smart Thinks 사례연구
*정부정책동향 사례연구
*K-SmartFactory
*Hidden Champion
*카드뉴스
*국내외 동향 리포트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2030년을_향한_도요타_자동차의_전동차_전략 [2018/07/24 11:19] wikiadmin |
2030년을_향한_도요타_자동차의_전동차_전략 [2018/07/24 11:40] (현재) wikiadmin |
||
|---|---|---|---|
| 줄 35: | 줄 35: | ||
| *신흥개발국 대상 차량으로 1모터 패럴 HEV나 48V MHVE를 개발하여 투입한다. 아쿠아 차량보다 소형모델로는 48V MHEV, 픽업 트럭은 1모터 패럴HEV로 영역을 나누어 라인업 할 것으로 보여진다. | *신흥개발국 대상 차량으로 1모터 패럴 HEV나 48V MHVE를 개발하여 투입한다. 아쿠아 차량보다 소형모델로는 48V MHEV, 픽업 트럭은 1모터 패럴HEV로 영역을 나누어 라인업 할 것으로 보여진다. | ||
|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이지만, 2030년 가장 대수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차량은 HEV/PHEV로 THS를 베이스로 한 2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될 것이다. |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이지만, 2030년 가장 대수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 차량은 HEV/PHEV로 THS를 베이스로 한 2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될 것이다. | ||
| - | \\ | ||
| \\ | \\ | ||
| * 도요타자동차의 2030년 BEV/FCEV전략 | * 도요타자동차의 2030년 BEV/FCEV전략 | ||
| 줄 47: | 줄 46: | ||
| BEV 구동용 모터를 하이브리드차용 모터와 공용화하는 것도 선택지로 검토하고 있다. | BEV 구동용 모터를 하이브리드차용 모터와 공용화하는 것도 선택지로 검토하고 있다. | ||
| \\ | \\ | ||
| + | \\ | ||
| + | {{ :도요타3.png?400 |}} | ||
| \\ | \\ | ||
| * FCEV 전략 | * FCEV 전략 | ||
| 줄 52: | 줄 53: | ||
| 상용차분야에서는 이미 개발하여 발표한 버스와 중대형 트럭, 공공교통버스, 택배트럭에도 전개한다. | 상용차분야에서는 이미 개발하여 발표한 버스와 중대형 트럭, 공공교통버스, 택배트럭에도 전개한다. | ||
| 그룹기업인 도요타자동방직기, 아이싱그룹을 통하여 산업용차량과 정치형 발전기를 제품화한다. | 그룹기업인 도요타자동방직기, 아이싱그룹을 통하여 산업용차량과 정치형 발전기를 제품화한다. | ||
| - | + | \\ | |
| + | \\ | ||
| + | {{ :도요타4.png?400 |}} | ||
| + | \\ | ||
| + | \\ | ||
| + | \\ | ||
| + | 출처: [[http://automotive.ten-navi.com|FOURIN 세계자동차기술조사월보]]\\ | ||
| + | 번역: K-SmartFactor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