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최고의 응용과학 연구소 프라운호퍼를 가다 ==== **지난 달 정부는 「정부 R&D 혁신방안」에서 ETRI를 비롯한 여섯 개 정부출연연구소를 ‘한국형 프라운호퍼’ 연구소로 혁신한다고 밝혔다. 막스 플랑크, 헬름홀츠, 라이프니츠와 함께 독일 4대 연구소로 꼽히는 프라운호퍼 뮌헨 본사를 직접 찾아가 프라운호퍼가 주목 받는 이유와 그 운영 방식을 알아보고, 그들이 주도하고 있는 독일 인더스트리4.0에 대해 들여다보았다.** {{ :프라운호퍼_1.png?nolink |}} 사진: 프라운호퍼 뮌헨본사 입구와 외부전경 \\ \\ ===== 독일 대표 응용과학기술연구기관, 프라운호퍼협회 ===== 프라운호퍼협회는 1949년 독일 연방 정부의 주도로 설립된 독일의 대표적인 출연연구기관이자, 독일 전역에 67개의 연구소를 두고 있는 유럽 최대의 응용과학기술연구기관이다. ‘프라운호퍼’라는 이름은 태양 스펙트럼에서 흑선(프라운호퍼선)을 발견한 물리학자이자 광학 연구소의 경영인이었던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가 과학자이면서 동시에 경영인이었던 것처럼, 프라운호퍼협회는 시장에서 상용화될 수 있는 과학 기술을 연구해 산업과 과학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 프라운호퍼협회는 산업 분야와 사회에 광범위하게 기여할 수 있는 응용과학을 목표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시장 지향적 연구를 진행하는 만큼,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에 발맞추어 최신 기술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크게 교통 분야에서는 무인주행, 제조업 분야에서는 스마트 생산, 사이버 물리 시스템, 정보 통신 분야에서는 IT 보안 등의 연구를 진행 중이다. ===== 민간 수탁 중심의 재정 ===== 프라운호퍼협회는 독일 연방 정부 주도로 설립되었지만, 재원 마련에 있어서는 정부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 현재 재정의 약 35%만을 독일 연방 정부와 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으며 나머지 65%는 민간 수탁으로 채우고 있다. 이는 한국 정부출연연구소 예산의 88.8%가 정부 재원으로 충족되고 있는 것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차이가 있다. 이렇게 재정의 독립성이 이루어지다보니 자연스럽게 연구의 독립성 또한 보장이 되고 있다. 프라운호퍼 연구자들은 스스로 어떤 분야의 연구를 어떤 내용으로, 재원을 어떻게 분배하여 진행 할 것인지를 자유롭게 결정함으로써 연구의 성과와 질을 높이고 있다. ===== 활발한 협력 활동 ===== 프라운호퍼협회의 67개 연구소들은 각각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연구를 진행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타 연구소나 연구자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인더스트리 4.0에서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이 활발히 융합 된 것처럼 각 분야 간 장벽을 허무는 융합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연구소들이 협력관계를 맺는 것을 ‘프라운호퍼 얼라이언스’라고 하는데, 여기서는 여러 분야에 걸쳐 있는 연구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며, 연구 주제가 애매모호 할 경우에는 자문을 통해 적절한 연구소가 프로젝트를 맡을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프라운호퍼는 각 연구소의 소장을 대학 교수로 임명하고, 대학 연구기관들과도 연구 협력하는 등 대학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해외 각지에 지사, 프로젝트 센터, 사무소를 두고 있어 해외 시장 환경에 맞는 연구 프로젝트를 바로 바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대기업, 하이테크 기업(R&D에 3.5% 이상을 투자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비 R&D기업(R&D에 3.5% 미만을 투자하는 기업)을 위한 연구도 진행함으로써 산업 전반의 기술 연구에 힘쓰고 있다. 즉 이런 일련의 연구 활동에 중심에 있음으로써 대학과 기업을 잇는 가교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기술R&D의 격차를 줄이고 산업의 혁신, 독일의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 프라운호퍼의 또 다른 강점, 스핀오프 ===== 프라운호퍼 연구소가 시장 진입을 보다 쉽게 하는 주요 요인은 바로 스핀오프(분사)이다. 스핀오프는 내부 연구원들이 창업을 해 새로운 기업을 설립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통해 직접 시장을 창출해나감으로써, 프라운호퍼 협회와 스핀오프 기업 간, 스핀오프 기업들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강화해 상호 이익을 극대화해나가고 있다. 또한 스핀오프를 통해 시장의 현황과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어 첨단 기술을 상용화 하는데도 유리하다. 연간 40여개의 스핀오프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스핀오프 기업 설립 후 초기 3년간 파산율은 4%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프라운호퍼는 스핀오프 기업의 지분을 판매하여 이익을 얻기도 하지만, 이 보다는 R&D, 라이센싱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상위 목표로 두고 있고, 실제로도 신설 스핀오프 기업들의 R&D와 라이센싱 수익은 연간 약 2천만유로에 달하고 있어 성공적인 사례를 계속해서 만들어나가고 있다. 프라운호퍼는 스핀오프를 인력 유출, 기술 유출로 보지 않고 인력, 기술의 산업 이전으로 보고 스핀오프 전담 부서에서 자금 문제, 특허권 문제를 다루는 등 스핀오프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 {{ :프라운호퍼_2.png?nolink |}} ===== 프라운호퍼의 인재 채용 및 관리 시스템 ===== 2014년 독일 이공계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프라운호퍼는 ‘대학생들이 일하고 싶어 하는 기업 3위’에 올랐으며, 내부 직원 만족도 조사에서도 무려 응답자의 80% 이상이 “프라운호퍼의 가치와 문화는 나 자신의 가치, 문화와 부합하며 프라운호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처럼 대내·외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독특한 인재 철학과 자율성 보장에 있다.\\ 프라운호퍼협회는 채용 시부터 ‘영업 능력이 있는’ 연구자들을 선호한다. 여기에서 ‘영업 능력이 있는’ 연구자라는 것은 자신의 연구 성과물이 시장에서 잘 팔릴 것인가 그렇지 않을 것인가에 관심을 두고 판단할 수 있는 연구자를 말하는 것이다. 시장 지향적인 연구를 하는 프라운호퍼에 있어 연구자의 이러한 성향과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곳의 연구원들은 자신의 연구 결과물을 시장에 직접 선 보임으로써 성취감을 얻고, 반복되는 연구에서 벗어나 경영을 경험함으로써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이곳에서 연구자들은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신기술들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다. 이 같은 연구의 자율성은 특별한 금전적 혜택, 복지 혜택 없이도 연구자에게 높은 만족을 준다. 또한 연구직과 행정직의 비율이 5:5로 연구자들은 복잡한 행정 절차, 업무에 대한 걱정 없이 자유롭게 자신의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프라운호퍼의 과학 기술 연구직, 행정직 직원들 중 절반가량은 기간제 계약직 직원들이다. 2년 기간의 계약을 맺고 그 이후 두 번의 기간 연장이 가능해 총 6년간 근무를 할 수 있다. 그런 후에 프라운호퍼에서 종신직으로 계속 있을지 아닐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두고 의아하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직원들의 요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직원들은 대부분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경력을 쌓은 후 기업의 연구직으로 옮겨 가는 편이다. 계약 기간이 끝난 후 재취업에 대한 걱정이 있지 않을까 싶지만, 처음 2년 계약 근무 후 80%가 다른 기업의 연구소에 취업이 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계약이 끝난 직원들의 거의 모두가 재취업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학 기술 연구직 및 행정직의 파트타임 직원들의 비율도 2014년 기준 전체의 25.43%로 상당한데, 파트타임 직원들은 업무 시간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만족하고, 연구소 입장에서는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할 때마다 연구 인력을 쉽게 고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율성 보장’만으로 높은 직원 만족도를 정말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말에 ‘하고 싶은 연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자에게는 가장 큰 장점이며, 돈을 더 많이 벌기 위해 프라운호퍼에 오는 사람은 없다’고 답하는 프라운호퍼 관계자의 말. 연구자가 즐겁게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이 혁신을 이끄는 연구 성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글: 김정민 연구원 IMD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