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prise-IoT
*Smart Machine 사례연구
*Middleware 사례연구
*AI·Big Data 사례연구
*IoT 사례연구
*Smart Thinks 사례연구
*정부정책동향 사례연구
*K-SmartFactory
*Hidden Champion
*카드뉴스
*국내외 동향 리포트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
ⅰ.iot_프로젝트의_폭 [2015/09/17 09:34] (현재) wikiadmin 만듦 |
||
---|---|---|---|
줄 1: | 줄 1: | ||
+ | ==== i. IoT 프로젝트 차원 ==== | ||
+ | |||
+ | 구조적 방법으로 IoT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포착하기 위해 Ignite | IoT 방법론은 5~10개의 부차원이 그룹당 달린(대략 총 40 부차원) 다섯 그룹의 IoT 프로젝트 차원을 정의한다. 각 차원에 Ignite | IoT 는 등급을 1에서 4까지 정의하고 각 등급에 정의를 부여한다. | ||
+ | |||
+ | 다섯 주요 그룹은 자산과 기기, 통신과 연결성, 백엔드 서비스, 표준과 규정 준수, 프로젝트 환경이다. 다섯 그룹과 관련 차원의 개관은 아래 도표에서 찾아볼 수 있다. | ||
+ | |||
+ | {{ :파트2_32번그림.png?300 |}} | ||
+ | IoT Project Dimensions | ||
+ | |||
+ | 각 IoT 프로젝트 차원은 1~4의 등급을 정의한다. 1은 프로젝트 관리자의 시점에서 낮은/단순한 을 가리키고 4는 복잡한/도전적인 을 의미한다. 다른 차원들에서는 질적 정의를 사용해야 하는 반면에 어떤 차원들에서는 여러 등급 수준을 수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몇 예시들이 아래 스크린샷에 제공되어 있다. | ||
+ | |||
+ | {{ :파트2_33번그림.png?300 |}} | ||
+ | Project dimension scales | ||
+ | |||
+ | 기초적인 생각은 IoT 프로젝트 차원이 프로젝트 자기 평가를 수행하고, 다른 IoT 프로젝트들을 비교하고, 프로젝트에 쓰일 솔루션 건축과 기술을 선택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
+ | |||
+ | {{ :파트2_34번그림.png?300 |}} | ||
+ | Use cases for project dimensions | ||
+ | | ||
+ | 프로젝트 자체 평가를 위해, IoT 프로젝트 차원이 들어있는 엑셀 템플릿을 the Ignite | IoT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이 템플릿을 프로젝트 차원을 질문표처럼 사용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입력의 시각화를 제공하는 Kiviat 도표(혹은 “거미 도표”)이다. 이 과정은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그들의 프로젝트의 위험과 과제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 | |||
+ | 프로젝트 비교 목적으로 우리는 현재 우리가 프로젝트 차원 템플릿을 사용해 분석한 IoT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 데이터베이스는 또한 Ignite | IoT 웹사이트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졌다. | ||
+ | |||
+ | 기술 선택 단계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의 목표는 각 IoT 기술 프로필을 다양한 IoT 프로젝트 차원의 측면에서 기술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끝내는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