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자율주행자동차의_미래 [2016/03/08 15:36]
wikiadmin
자율주행자동차의_미래 [2016/03/08 15:38] (현재)
wikiadmin
줄 1: 줄 1:
-입법부와 기업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용화를 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 입법부와 기업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용화를 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
  
 {{ :​차량_정책_1.jpg |}} {{ :​차량_정책_1.jpg |}}
줄 13: 줄 13:
    ​Alphabet chairman Eric Schmidt (l), DOT Secretary Anthony Foxx (r) and a driverless car Justin Sullivan / Getty Images    ​Alphabet chairman Eric Schmidt (l), DOT Secretary Anthony Foxx (r) and a driverless car Justin Sullivan / Getty Images
  
-**자동차 시장에서 안토니 폭스 장관을 모르면 안 된다.** +====== ​자동차 시장에서 안토니 폭스 장관을 모르면 안 된다. ​====== 
 + 
  
 2013년 미국 교통국 장관으로 임명된 폭스 장관은 확실히 시장의 가려운 곳을 잘 알고 있다. 그는 CES에서 이와 관련된 연설을 하였으며 오는 3월 South by Southwest에서도 이와 관련된 내용을 말할 것이다. 그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기술 발전을 하고 있는 실리콘벨리의 거대기업들과 지속적으로 모임을 가지고 있다. 2013년 미국 교통국 장관으로 임명된 폭스 장관은 확실히 시장의 가려운 곳을 잘 알고 있다. 그는 CES에서 이와 관련된 연설을 하였으며 오는 3월 South by Southwest에서도 이와 관련된 내용을 말할 것이다. 그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기술 발전을 하고 있는 실리콘벨리의 거대기업들과 지속적으로 모임을 가지고 있다.
줄 19: 줄 20:
 폭스 장관은 오바마 정부와 함께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그는 물러나기 전 국가 차원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정책을 제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운송수단 간 커뮤니케이션 표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제 자율주행 자동차 법은 주정부의 손을 떠난 상태이다. 캘리포니아 주가 이와 관련된 첫 번째 법을 만들었는데,​ 이는 구글의 완전 무인자율주행 자동차를 금지한다는 것이었다. 폭스 장관은 이와 관련해 주정부에 세부적인 규제를 만들지 말 것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우선적으로 큰 틀을 연방정부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폭스 장관은 오바마 정부와 함께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그는 물러나기 전 국가 차원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정책을 제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운송수단 간 커뮤니케이션 표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제 자율주행 자동차 법은 주정부의 손을 떠난 상태이다. 캘리포니아 주가 이와 관련된 첫 번째 법을 만들었는데,​ 이는 구글의 완전 무인자율주행 자동차를 금지한다는 것이었다. 폭스 장관은 이와 관련해 주정부에 세부적인 규제를 만들지 말 것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우선적으로 큰 틀을 연방정부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안토니 폭스 장관과의 대화 (Q&A)+**안토니 폭스 장관과의 대화 (Q&A)**
  
 **Q**: 구글과 같이 자율주행 자동차에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전달해 주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가? **Q**: 구글과 같이 자율주행 자동차에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전달해 주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가?
자율주행자동차의_미래.145741901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3/08 15:36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