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번역: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IoT에서의 주요 용어 정의

Enterprise IoT의 개념을 더 견고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우리는 몇가지 유용한 정의를 아래에 포함시켰다. 아마 우리의 명명법에서 우리가 내릴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용어 “사물”을 빼는 것일 것이다, IoT는 모든 “사물”에 연결되도록 상정되어 있으므로 모순된 것처럼 들리겠지만. 하지만 우리의 경험에서, 기업의 사람들은 거의 사물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산”과 “기기”라는 더 흔히 사용되는 용어를 채택하기로 했다.

                     Enterprise IoT definitions

위의 그림은 Enterprise IoT 아래에 정의될 솔루션 시나리오의 주요 요소에 대한 개관이다.

(1) Asset: 사업 용어에서 우리는 많은 물리적인 “사물”을 그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자산”이라고 부른다. 자산은 차량, 시설, 기계, 전동공구처럼 이윤을 생성하기 위해 혹은 회사의 활동을 돕기위해 생산되고 작동되며 관리되는 장비의 속성이나 조각이다. 자산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사업모델의 중요한 부분이다. 기기(아래를 보라)가 IoT솔루션의 일부가 될 수 있는데 반해 자산 그 자체는 일반적으로 IoT솔루션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라(최소한 Enterprise IoT의 맥락에서는).

(2) 기기: 기기는 “사물”의 다른 중요한 종류이다. 일반적으로, 기기는 자산에 비해 경제적으로 덜 중요하고 물질적 측면에서는 매끈하다. IoT의 기기들은 주로 센서(열, 온도, 흐름, 등)와 작동기(전기모터나 유압 부품)를 포함한다. 우리의 Enterprise IoT 시나리오에서, 기기는 일반적으로 자산에 배치된다.

(3)기업: “기업”은 Enterprise IoT 솔루션을 실행하는 전체의 조직적 범위를 가리킨다. 많은 사례에서, 이것는 예를 들면 차량 관리자나 제조업자 같은 자산을 작동시키는 것과 같은 기업이다. 이콜서비스 같은 사례에서 기업은 백엔드 서비스만을 가동시킨다. 기업들은 핵심 사업 과정을 지원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을 수립하고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창출하기위해IoT 솔루션의 도입을 늘리고 있다. 기업은 스스로의 자산을 작동시키고 다른 조직에 속한 자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oT를 사용할 것이다.

(4) Enterprise IoT 솔루션: 자산과 그 기기를 백엔드 프로그램 서비스로 연결하는 IT 시스템.

o (4a) 백엔드 서비스: IoT 솔루션의 백엔드 서비스는 원격 모니터링과 기기 및 자산의 통제, 기기 관견 데이터의 수집, 다른 기업 프로그램과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5).

o (4b) 백엔드 UI: 백엔드 서비스는 모든 자산 상태의 현재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시각적 계기판처럼 일반적으로 웹 혹은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도록 제공한다.

o (4c) 원격 통신: 자산과 백엔드 서비스 간의 통신 원리. 예시는 모바일 네트워크, 위성 등.

o (4d) 자산의 HW+SW (Hardware + Software): 자산에 배치되는 솔루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부분. 자주, 자산의 하드웨어는 자산의 소프트웨어가 현지 통합과 원격 메세지를 가능하게 하는 현지 대리인으로 행동하는 것에 반해 현지에서와 원격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의 형태이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는 현지의 센서를 통합시키고 GSM 모듈을 백엔드와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해 산업 버스를 사용한다. 많은 사례에서 게이트웨이/에이전트는 또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여러 기기의 프로토콜과 백엔드 시스템이 지원하는 포맷간에 가교를 놓기 위해 번역과 지도제작 서비스를 수행한다. (4d)가 오직 솔루션 특화 HW+SW만을 지칭한다는 것을 유념하라: 많은 자산은 이미 현존하는 현지 사업 논리이되 솔루션이 아닌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내장된 HW+SW를 가지고 있다.

o (4e) 솔루션 HMI: 어떤 IoT 솔루션은 또한 내장 디스플레이나 차량 공유 서비스 같은 솔루션 특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를 포함한다.

(5) 기업 프로그램과 (6) 파트너 시스템: 대부분의 IoT 솔루션은 ERP, MES, PLM, CRM , 유산 프로그램 등 많은 내외부(즉 파트너) 프로그램들을 통합시켜야 한다. 많은 사례에서 이런 프로그램들은 또한 자산에 관련된 데이터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ERP 시스템은 차량 설정 데이터를 담고 있을 수 있고, 백엔드는 원격 차량 상태 데이터를 담고 있을 수 있다. 이들 여러 데이터원을 통합시켜야만 자산의 전체적인 견해를 얻을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Enterprise IoT 솔루션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그 솔루션은 비상 상황을 추적하고 다룰 수 있는 이콜 서비스이다. 관리되는 자산은 자동차들이다. 기업은 이콜 오퍼레이터이며, 이 사례에서는 보슈 시큐리티 테크놀로지이다. 그 솔루션은 통합된 가속 센서를 가진 내장된 컴퓨터 통신 통제 유닛(TCU을 포함하고 있다. 그에 더해, TCU는CAN 버스를 통해 자동차의 에어백에 통합되어 있다. 백엔드와의 통신은 GSM에 기초하고 있다. 주요 백엔드 서비스는 콜센터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 전화 관리 솔루션, 자동차 제조사에 의해 관리되는 차량데이터베이스, 사고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경찰서, 소방서, 구급차 서비스와 연결된 공공 안전 응답 포인트(PSAP)를 통합시킨다.

                       eCall example
                       

독자에게 이들 정의와 예시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들은 책 전체에서 사용될 것이다. 특별히, 우리의 주요 구조 개념 중 하나인 자산 통합 구조(AIA)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사용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 개념은 Part II에서 정식으로 소개할 것이다 (“IoT Architecture Blueprints“를 보라).

이 문서의 번역:
1.서론.14422760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9/15 09:13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