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에서 6대 주목할 만한 AI 트렌드
2025-01-14
CES 2025에서 6대 주목할 만한 AI 트렌드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중 하나인 CES 2025가 라스베이거스에서 지난 1월7일~10일 개최되었다.
총 14만 1천 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하여 전년 대비 약 5% 증가하였다.
참가 기업 수는 160여 개국에서 4,500여 개사에 달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약 5% 증가하였다.
한국 기업은 총 1,031개사가 참가하여 역대 최다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미국(1,509개), 중국(1,339개)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치이다.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전체 1,300여 개 중 한국 기업이 625개로 약 48%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이는 산자부, 중기부, 서울시, 경기도 등 50여 개의 중앙정부와 지자체, 학교, 대기업, 30개 대학 스타트업 등의 해외 수출 지원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CES 2025 전시회는 「Dive In」을 테마로 PC 시장,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 차세대 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가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AI 기술이 어떻게 자연스럽게 일상의 일부로 녹아들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지를 조명하는 행사였다.
키 포인트
CES 2025의 주제는 「Dive In(연결, 해결, 발견, 탐구)」으로 AI를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통합하여 삶을 보다 편리하고 편안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C 시장의 진화 : Copilot PC 및 NPU 장착 PC로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작업 효율성 향상.
• 향상된 자율 주행 기술 : John Deere의 자율 주행 트랙터 출현으로 AI 자율 제어 및 장애물 탐지능력 향상.
• 스마트 홈의 진화 : AI는 음성 명령 해석 및 자동화 관리를 통해 삶의 편안함 향상.
• 웨어러블 기기의 진화 : 삼성 갤럭시 링(Samsung Galaxy Ring)과 같은 기기의 출현으로 AI 스트레스 측정 및 건강 데이터 분석을 지원.
• 의료 분야에서의 AI 활용 : AI Doc과 neuroClues가 등장하면서 AI는 질병 예측 및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
• 차세대 TV의 진화 : AI 칩이 내장된 TV는 스마트 광고 및 시청 경험을 향상시킬 것
CES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전시회 중 하나로 매년 1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다.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최하는 역사적인 이 전시회는 1967 년부터 계속되고 있다.
CES의 특징 및 목적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곳
소비자 가전, 모바일 기기, 자동차 기술, AI, 로봇 공학, 건강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과 제품이 발표된다.
스타트업에서 글로벌 기업에 이르기까지 수천 개의 기업이 참석하여 프로토 타입과 신제품을 출시.
업계 전문가를 위한 행사
일반 대중을 위한 전시회가 아니라 비즈니스 전문가, 기술자, 미디어 및 투자자를 위한 전시회이다.
또한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업계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도 하고 있다.
최신 기술 동향 전파
매년 AI, 자율 주행, 스마트 홈, 웨어러블 기기, 의료 기술 등의 최첨단 트렌드가 발표된다.
CES 2025
CES 2025(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는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3대 기술 전시회 중 하나이다.
전미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세계 각국의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CES 2025 주제 : 「Dive In」
올해 CES 2025의 주제는 Dive In. 이 주제는 기술 혁신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사람들과 더 많은 연결을 목표.
특히 AI 기술의 활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신 기술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과 사회적 과제의 해결을 가속시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CES 2025에서 주목해야 할 6가지 AI 트렌드
CES 2025는 여러 기술 분야에서 AI 기술의 진화가 주목을 받았다. 다음은 가장 주목할 만한 6가지 트렌드이다.
1. PC 시장에서의 AI와 성능 개선
AI는 PC의 작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코파일럿 PC의 등장과 NPU(AI 관련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의 탑재로 로컬 AI 처리가능한 PC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퀄컴의 스냅드래곤 X 플랫폼과 AMD와 인텔의 새로운 NPU를 탑재한 프로세서가 주목받았다.
또한 엔비디아의 새로운 CPU 개발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어 PC 시장에서의 AI 활용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갤럭시 AI를 통합하고 클릭 한 번으로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는 'AI 셀렉트(AI Select)' 기능을 탑재한 갤럭시 북5 프로(Galaxy Book5 Pro)와 갤럭시 북5 360 AI 기반 PC도 발표했다.
PC 시장에서 AI의 역할
AI의 진화로 PC는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고,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AI를 도입하고 있다.
AI는 이미지 생성, 자연어 처리, 번역, 디바이스 성능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업무 효율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2. 자율주행 기술의 진화
자율주행 기술은 「Dive In」의 상징으로 주목받고 있다.
John Deere의 자율주행 트랙터와 HD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중장비 등 농업 및 건설 현장은 점점 더 자동화되고 있다.
또한 차량 대시보드에 AI 어시스턴트를 통합하여 자동차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자율 주행 기술에서 AI의 역할
AI는 차량 자동 제어, 장애물 감지, 음성 내비게이션을 통해 주행 안전성을 개선하여 보다 부드럽고 편안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3. 스마트 홈의 실용성 향상
스마트 홈 기술은 「Dive In」이라는 테마 아래 더욱 실용적이고 편리하게 진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글루의 지문 스마트 잠금 장치와 누키의 스마트 잠금 장치가 발표되었다.
자율 잔디 깎는 기계와 Biolite의 가정용 백업 배터리 등 다른 하이라이트도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Dreame의 X50 Ultra 로봇 청소기는 작은 계단을 오를 수 있는 획기적인 장치다.
또 삼성전자의 AI 기반 가정용 로봇 Ballie도 눈길을 끌었다.
Ballie는 집안을 자율적으로 이동하고, 가전제품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습관을 학습하여 개별적으로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홈 어시스턴트이다.
2025년 출시 예정인이 제품은 이동 중에 애완동물과 가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운동 영상 투사, 음악 재생, 전화 응답 등 생활을 보다 쾌적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Yukai Engineering의 미루미와 네코지타 후후도 주요 스마트 장치이다.
미루미는 가방에 부착하는 푹신한 로봇으로, 인간 아기가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미소 짓는 경험을 재현한다.
한편, 네코지타 후후는 귀여운 고양이 모양의 로봇으로, 따뜻한 차나 수프를 부드럽게 불어 식힌다.
스마트 홈에서 AI의 역할
AI는 청소 로봇을 탐색하고 장애물을 피하는 것 외에도 음성 명령을 해석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고, 반복적인 일을 자동화 관리하여 거주자의 행동을 예측하여 보다 편안한 생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4. 웨어러블 기기 및 건강 관리
CES 2025년에서는 건강 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가 더욱 진화했다. 삼성 갤럭시 링과 뉴트릭스의 코티센스가 대표적인 예다.
뉴트릭스의 코티센스는 타액을 이용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다.
Dexcom의 Stelo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사용하기 쉬운 연속 혈당 모니터이기도 하다.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XR 발표로 스마트 안경 시장도 호황을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 오리온 등 새로운 프로토타입의 등장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웨어러블 기기에서 AI의 역할
AI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된 방대한 양의 건강 데이터와 생체 인식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수면 패턴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어 개인 맞춤화된 건강 관리를 지원한다.
5. 의료 분야에서의 AI 활용
의료 분야에서 AI는 조기 질병 발견 및 진단 지원 영역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AI Doc은 자궁경부암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했다.
또한 neuroClues는 AI 기반 시선 추적 기술을 사용하여 신경 질환 진단 업무를 지원한다.
Brigham and Women's Hospital의 연구에 따르면 AI를 사용하여 피트니스 트래커에서 양극성 장애를 80% 이상의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의료 분야에서 AI의 역할
AI는 의료 영상 분석, 질병 예측 및 진단 지원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의료 전문가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6. 차세대 TV의 새로운 기능
CES 2025는 OLED 및 Micr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진화와 TV 자체의 기능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AI 칩 설치로 프레임에 담긴 제품을 즉석에서 구매할 수 있는 스마트 광고 기능이 포함되었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 TV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였다.
또한 삼성은 삼성 식품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다.
이 AI 기능은 TV 화면에서 음식을 인식하고 시각 정보에서 레시피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2025년 출시 예정인 삼성 TV에 탑재되며, 스마트폰 앱 삼성 푸드와 연동해 쇼핑 리스트를 작성하고 음식 배달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요리 경험을 더욱 발전시키고 일상 생활의 편리성을 높일 것이다.
차세대 TV에서 AI의 역할
AI는 시청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시청 기록을 기반으로 비디오 보정, 음성 비서 및 추천 시스템에 사용된다.
참고 | https://www.ces.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