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토리 이노베이션 엔비디아 메가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2025-01-24
팩토리 이노베이션
엔비디아 메가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NVIDIA's Mega Omniverse Blueprint Transforms Factories-
NVIDIA의 Mega Omniverse Blueprint :
자동화, 디지털 트윈, AI의 효율성 향상으로 공장 혁신
노동력 부족, 공장 운영비용 상승 및 생산 효율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산업 자동화에 대한 투자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 물리적 환경의 가상 복제본인 디지털트윈 기술이 제조업체의 혁신적인 도구로 주목을 받고 있다.
디지털트윈을 통해 제조 운영을 시뮬레이션하고 최적화할 수 있으며, 기존 워크플로우의 중단없이도 자동화된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개선할 수 있어 운영비용 절감과 안전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McKinsey에 의하면 첨단 산업 분야의 기업 중 약 75%가 디지털트윈 기술을 채택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VIDIA의 차세대 접근 방식
디지털트윈 기술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 NVIDIA는 제조기업의 자동화 접근 방식을 새로 정의하는 획기적인 프레임워크를 공개하였다.
이 회사는 로봇 시스템 개발 및 설치에 혁명을 목적으로 설계된 청사진 시스템인 「Mega」를 소개하였다.
Mega는 현실 세계인 공장에 실제로 배치하기 전에 디지털트윈 환경에서 물리적 AI 및 로봇을 대규모로 개발하고 테스트와 최적화를 쉽게 할 수 있는 Omniverse Blueprint이다.
이러한 혁신의 배경에는 전 세계 제조 시설에서 점점 더 복잡하게 발전하는 자동화 시스템통합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성에 대한 솔루션인 NVIDIA의 Mega는 제조기업이 정밀하게 자동화를 간소화하여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프트웨어로 정의된 물리적 생산시설의 기능
이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의된 기능을 물리적 시설에 도입하여 지속적인 개발, 테스트, 최적화 및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Mega Omniverse Blueprint는 AI 기반 로봇 제어 시스템용 디지털트윈을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NVIDIA의 가속 컴퓨팅, AI, NVIDIA Isaac 및 NVIDIA Omniverse 기술을 결합한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기업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트윈을 통하여 로봇, 비디오 분석, AI 에이전트, 장비 및 기타 복잡한 공장 운영을 대규모로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트윈을 통한 산업 최적화
Mega 기반 디지털트윈을 통해 가상 세계 시뮬레이터를 만들어 모든 로봇의 활동과 센서 데이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공장의 로봇 제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로봇의 경로와 작업을 최적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 Blueprint는 Omniverse Cloud Sensor RTX API를 활용하여 로봇 개발자가 공장의 여러 지능형 기계에서 동시에 센서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대규모 센서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디지털트윈 내의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로봇을 테스트할 수 있다.
Manufacturing Digital에서
https://manufacturingdigital.com/ai-and-automation/kion-accenture-nvidia
이전에 보도한 바와 같이, 공급망 솔루션 회사인 Kion Group은 Mega를 최초로 채택한 회사로 Accenture 및 NVIDIA와 협력하여 소매, 소비재 및 소포 서비스의 운영 업무를 최적화하고 있다.
Accenture는 시뮬레이션과 로봇용 Mega를 이 회사의 AI Refinery에 통합하여 기업이 AI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공장 및 창고 운영을 재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Kion Group AG의 CEO Rob Smith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NVIDIA의 AI 리더십과 디지털 기술에 대한 Accenture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고 자동화를 재창조하고 있다.
이러한 강력한 파트너와 함께 우리는 스마트 애자일 시스템의 일부이고 주변 세계와 함께 진화하며 거의 모든 공급망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의 창고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만들고 있다.”
산업용 AI 어플리케이션 증가
NVIDIA는 옵니버스를 로봇, 자율주행차, 비전 AI와 같은 물리적 AI 어플리케이션에 통합하기 위한 생성형 AI 모델과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 모델은 물리적 AI 시뮬레이션을 위한 3D 세계의 생성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여기서 가상 환경을 구축하고, 물리적 속성으로 라벨링하고, 현실감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사실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Mega Blueprint는 소프트웨어 기반 접근 방식으로 건축가, 엔지니어, 오퍼레이터가 물리적 시설의 디지털 복제본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디지털트윈으로 실제 조건을 시뮬레이션하여 공장에 배치하기 전에 포괄적인 테스트 및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Accenture의 회장 겸 CEO인 Julie Sweet는 이러한 개발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강조한 바 있다.
“산업용 AI 시대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기업이 AI 기반 시뮬레이션과 자율 로봇을 사용하여 새로운 시설을 설계하고 운영을 최적화하는 프로세스를 재창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NVIDIA 그리고 Kion과의 협업으로 고객들은 디지털트윈 환경에서 운영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수백 가지 옵션을 실행하고 계절적 시장 수요 또는 인력 가용성 등 현재 또는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가장 적합한 선택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기술, 데이터 및 AI를 사용하여 고객이 달성할 수 있는 가치의 새로운 선두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 https://manufacturingdigital.com/articles/mega-omniverse-blueprint-nvidias-ai-driven-digital-twins?utm_campaign=&utm_medium=email&utm_source=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