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번역:

중요 자산 재정의하기 – 펌프, 밸브, 모터

유지보수 및 신뢰성에 대한 기존의 지식은 회사가 위험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을 조언한다. 유지관리 전략. 즉, 조건 기반 유지 관리(CbM)로 중요 자산을 관리하고, 시간 기반 유지 관리 (TBM) 또는 실패로 인한 실행으로 덜 중요한 자산을 관리하도록 규정한다.

종종 자산의 중요성은 자산이 실패한 경우 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간단하게 결정된다. 전통적 지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꽤 흥미로운 질문이 있다. “모든 자산이 운영에 어느 정도의 비용과 영향을 미치기 마련인데, 어째서 CbM 전략은 모든 자산에 적용되지 않는가?”

노련한 베테랑이라면 센싱, 배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소프트웨어에 10,000달러를 투자해 기존 지식의 원래 기원인 생산 중단 시간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고 2,500 달러의 자산을 관리한다는 것이 재정적으로 비합리적임을 신속히 지적할 것이다.

그러나 IIoT 플랫폼 접근 방식을 채택하면 추가 자산에 CbM을 적용하고 예측 또는 규정유지방법으로 확장하는 데 드는 한계 비용이 거의 0달러로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추가비용이 추가자산마다 거의 0달러로 떨어지면서 CbM을 적용할 때 ROI가 높은 자산의 비율은 거의 100%에 이른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이전에 IIoT 플랫폼 기술을 조기에 채택한 사람들이 전에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이점을 얻지 못했던 많은 자산에 CbM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는 인상적이었다.

고속 보틀링 공장에서의 소형 모터

전형적인 보틀링 공장은 분당 수천 병을 채우고 수백 개의 작은 모터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모터는 개별적으로 모니터링되지 않고, 고장 수리/교체 방법을 따른다. 최근에 IIoT 기술을 채택하고 모터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 대형 보틀링 설비는 이 모터의 미세 정지가 플랜트의 하향식 시간 소스 중 하나를 설명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선된 유지 보수 방법을 이 모터에 적용함으로써 설비 가동 중단 시간이 10% 이상 단축되었다.

상류 석유 가스의 수평 펌

상류 석유 가스의 수평 펌프는 항상 중요한 자산이었으며, 에너지 소비가 크고 우물 현장의 생산성에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대역폭 및 연결성 문제로 인해 펌프는 종종 기계 제조업체가 설치한 후 거의 업데이트하지 않고 “설정하고 잊어버리는” 식으로 실행되었다.

에지 및 클라우드 분석을 포함하는 새로운 IIoT 접근 방식을 통해 기업들은 우물이 바뀌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펌프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을 자체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를 통해 수행한 운영자는 극적인 개선을 보고하고 있다. 한 사업자는 펌프 사이클 감소로 인해 펌프 당 전력 소비를 43% 줄였다고 (월간 60,000 EKFFJ) 보고했다.

유제품 시설의 밸브 클러스터

일반적인 대규모 낙농 가공시설에는 매일 수많은 제품을 처리하는 공정 배관이 있다. 이 공장들 중 가장 큰 손실 중 하나는 식물의 원료에서 저온 살균으로 옮겨가면서 사라지는 제품이다. 대부분의 공장은 일반적으로 여러 영역 간 물질 수지 균형을 계산하기 위해 탱크 수준에 의존하며, 유량계는 신뢰할 수 없고 그러한 저(低) 마진 비즈니스에 너무 비싸기도 하다. 공장의 대형밸브 클러스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IIoT 기술을 사용한 대형 유가공 업체 중 한 곳은 이 밸브와 에어 블로우를 제품 이송 중 물질 손실의 주범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데이터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밸브 및 에어블로우의 목표 유지관리를 위한 길을 열었다. 이 유가공 업체는 운송 당 1천 파운드의 제품을 절약한 셈이다.


출처 : MAKE THE IIoT AND DIGITAL TRANSFORMATION A REALITY

편집 및 번역 : K-SmartFactory

이 문서의 번역:
중요_자산_재정의하기.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6/14 20:34 저자 wikiadmin
CC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Powered by PHP Driven by DokuWiki Recent changes RSS feed Valid CSS Valid XHTML 1.0 Valid HTML5